전체 글(221)
-
2022학년도 논술위주전형의 특징 - 주요 변화 사항
2022학년도 논술위주전형의 주요 변화 사항 ∙논술고사의 비중이 높아지고 선택형 수능의 영향을 받는다. - 논술위주전형의 전형요소는 논술과 학생부 성적이다. 2021학년도에 이어 논술의 비중을 높이는 학교가 늘어났으며 논술을 100% 반영하는 대학도 3개 대학이다. 2022학년도에 학생부 반영비율을 낮추고 논술 반영비율을 높인 대학은 동국대(60% → 70%), 서울시립대(60% → 70%), 한국항공대(70% → 100%)이다. 선택형 수능에 따른 대학별 문항의 출제변화가 예상된다. 인문계열 수험생은 출제경향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자연계열 수험생은 2021학년도에 비해 기하 범위에서 출제가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2021학년도의 한국기술교육대에 이어 경희대(의학계열 제외)가 2..
2021.01.08 -
2022학년도 지역균형전형 선발(학교장추천전형)대학교
2022학년도 지역균형전형 선발(학교장추천전형)대학교 (1) 2022학년도부터는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1)에 따라 수도권 소재 대학들이 지역균형 선발을 하는데 대체로 학교장추천 성격의 학생부위주(교과)전형으로 선발한다. 일부 대학의 경우 이전 연도에 실시된 학교장추천 전형이나 혹은 학생부위주(교과)전형이 변형된 사례도 있고, 신설된 예도 있다. 2022학년도에 학생부위주(교과)전형의 지역균형 선발을 하지 않는 대학은 동덕여대, 삼육대, 안양대, 용인대, 한경대, 한국산업기술대, 한국항공대, 한성대, 한신대, 협성대 등이다. (2) 지역균형 선발을 하는 대학은 수도권 41개 대학 중 80.5%인 33개교가 교과 100%로 선발하며 그 이외에 면접, 서류 등을 포함하여 선발한다, (3) 또한, 41개 대..
2021.01.07 -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2020학년도 수시 정시70%컷
건설환경공학과 / 홍익대학교 [본교] 일반과정 ㆍ학과계열 : 공학계열 ㆍ입학정원 : 48명 / ㆍ2021학년도 경쟁률(정원내) : - / ㆍ취업률 : - ㆍ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94 (상수동, 홍익대학교) ㆍ전화 : 02-320-1056~8 / ㆍ팩스 : 02-320-1122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2020학년도 수시 최종합격자 내신등급 50%컷 70%컷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2020학년도 정시 최종합격자 백분위 50%컷 70%컷
2020.12.17 -
2021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출제경향분석
2021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출제경향분석 1. 출제의 기본 방향 국어 영역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에 기초하여 ‘대학 수학(修學)에 필요한 국어 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을 출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출제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평가 목표는 2018학년도 입학생부터 적용된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기초하여 설정하였다. ◦ 평가 문항은 국어 영역의 출제 과목인 ‘화법과 작문’, ‘언어’(’언어와 매체‘ 과목 중 언어 부분), ‘독서, ‘문학’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와 학습 활동을 평가 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개발하였다. ◦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지식과 기능에 대한 이해력, 출제 과목별 교과서를 통해 학습한 지식과 기능을 다양한 담..
2020.12.07 -
2024 학생부 비교과영역의 대입반영을 축소하면, 학종이 무력화되는 것이 아닌지요?
학생부 비교과영역의 대입반영을 축소하면, 학종이 무력화 되는 것이 아닌지요? 2021학년부터 2024학년도까지 학생부반영을 보았을때 비교과 영역이 많이 축소되면서 학종이 무력화 되는 것이 아닌지 우려하는 말들이 많은것 같습니다. 아래 개선내용을 보시고 교육부에서 답변한 내용을 보시면 학생부에서 교과학습발달사항과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이하 교육부 답변내용 □ 각 대학은 여전히 ‘정규교육과정 내 비교과 영역*’ 및 ‘교과세특’,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학생선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자율활동 특기사항, 정규 동아리 특기사항, 학교교육계획에 의한 봉사활동 실적, 진로활동 특기사항 등 ○ 특히 교과세특은 3년간 총 40여명의 교과 담당 교사가 해..
2020.11.30 -
우리 아이의 창의력을 기르기 위한 습관
우리가 알고 있는 뛰어난 수학자나 과학자, 예술가들이 어려서부터 공부보다 엉뚱한 생각이나 행동을 했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들의 어머니는 아이의 그런 점을 인정하고 특별한 아이로 키워냈습니다. 부모의 역할이 아이의 엉뚱함을 큰 창의력으로 키워낸 좋은 예입니다. 타고나는 능력도 있지만 창의력은 길러지는 것이기 때문에 훈련으로 충분히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 아이의 창의력을 기르기 위한 습관에 대해 알아봅니다. 창의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첫 번째, 궁금증을 키워줘야 합니다. 모든 일상에서 궁금증을 가지고 접근하는 아이는 그렇지 않은 아이보다 창의력이 훨씬 발달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두 번째는 도전정신을 길러주는 것입니다. 책을 통한 2차적 체험도 중요하지만 눈과 귀 등 오감을..
2020.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