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10. 28. 16:18ㆍ대입관련
학생부교과전형 ?
가. 전형의 특징
(1) 학생부교과전형은 학생부 교과 성적을 50% 이상 반영하는 전형을 의미한다. 학생부종합전형이나 논술전형 등 다른 전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낮은 편이지만 적성고사가 전형요소로 포함된 학생부교과전형은 경쟁률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2019학년도 수시전형 결과를 발표한 전국 108개 대학의 자료를 분석해 보면 학생부교과전형은 평균 7.3:1, 학생부종합전형은 8.9:1, 논술전형은 27.7: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2) 학생부교과 등급을 정량적으로 반영하는 학생부교과전형은 다른 전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합격 가능성을 예측하기 용이하여 안정지원하는 사례가 많아 중복 합격자가 많고, 이에 따라 충원 합격률도 높은 편이다. 전국 108개 대학의 자료를 보면 ‘학생부교과전형 > 학생부종합전형 > 논술전형’ 순으로 학생부교과전형의 충원율이 월등히 높고, 논술전형의 충원율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다.
(3) 학생부교과전형은 전형요소, 수능최저학력기준, 모집인원 규모변화 등의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 경쟁률과 합격선이 많이 달라진다. 서울 소재 일부 여대의 2019학년도 입시결과를 비교해 보면 이런 특징들이 잘 나타난다. 모집인원 규모가 작고 수능최저학력기준이 높지 않은 서울여대의 경우 경쟁률이 가장 높았고, 이에 따라 합격선도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었다. 반면에 덕성여대는 모집인원 규모는 비슷했지만, 수능최저학력기준이 높아 경쟁률이 비교적 낮았고, 합격선도 낮게 형성되었다.
또한 면접고사 실시 여부에 따라서도 합격선이 달라질 수 있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은 적용되지 않지만, 면접고사가 포함된 전형의 합격선은 학생부 100%로 전형하는 학생부교과전형에 비해 합격선이 대략 0.5~1등급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기도 한다.
(4) 학생부교과전형에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대학들이 많다.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요구하는 대학의 경우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율이 의외로 낮은 편이다. 대학 발표 자료를 기준으로 강원대, 경북대, 상명대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수능 수능최저학력기준 충족율이 대체로 40%~60% 정도이다.
[2021학년도 대학별 학생부교과전형 모집인원 및 수능최저학력기준 설정 유무 비교]
나. 전형 현황
⑴ 전국 198개 대학 중에서 학생부교과전형을 실시하지 않는 대학은 16개 대학 뿐이다. 서울지역에서 학생부교과전형을 실시하지 않는 학교는 건국대, 경희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등이 있으며, 지방에서는 한국교원대, 한동대, 포항공대가 있다. 전국의 10개 교대들은 대부분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선발하며, 학생부교과전형을 실시하는 대학은 서울교대, 공주교대, 전주교대 뿐이다.
⑵ 고른기회전형이나 농어촌전형 등의 특별전형을 제외하고 일반전형만을 대상으로 전형별 모집인원을 비교해 보면, 전체 모집인원 240,534명 중 학생부교과전형으로 모집하는 인원은 136,456명으로 전체의 56.7%를 차지한다.
'대입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생부교과 전형에서 학생부와 면접을 같이보는 학교 (0) | 2020.10.30 |
---|---|
학생부교과전형으로 대학가기 2 (학생부100%전형) (0) | 2020.10.29 |
2022학년도 수능 과목 지정 현황 (0) | 2020.10.27 |
논술전형을 준비하는 학생을위하여... (0) | 2020.10.24 |
학생부종합전형 준비방법 (0) | 2020.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