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 9. 18:38ㆍ대입관련
∙ 계약학과는 산업체의 요구에 따라 특별한 교육과정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학과이다. 계약학과는 크게 ‘재교육형’과 ‘채용조건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재교육형은 산업체 직원의 업무향상을 위해 교육을 의뢰하는 형태로 현재 산업체의 재직 중인 자가 지원이 가능하다. 채용조건형은 산업체 등이 채용을 조건으로 학자금 지원 계약을 체결하고 특별한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졸업 후 취업이 보장되는 형태로 고등학교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신입학 선발을 한다.
∙ 채용조건형은 크게 조기취업형, 군의무복무형, 기업체취업형의 3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는 기존의 경일대, 목포대, 전남대(여수), 한국산업기술대, 한양대(ERICA) 5개 대학에 가천대, 순천향대, 동의대가 추가되어 총 8개 대학에서 981명을 선발한다. 대부분 수시에서 학생부위주(종합)전형으로 실시되며 한국산업기술대는 정시 가군에서 30명을 선발하고 있다.
∙ 군의무복무형 계약학과는 고려대, 세종대, 아주대, 영남대, 충남대, 한양대(ERICA)에서 225명을 선발한다. 육군, 해군, 공군에서 첨단 분야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 다른 대학의 군사학과와 같이 장교로 임관하지만 병과가 지정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 기업체취업형 계약학과는 대학에서 기업과 업무협약을 통해 학과를 졸업하면 해당 기업체에 일정기간 근무를 해야 하는 전형으로 경북대, 고려대, 서경대, 성균관대, 연세대, 한세대에서 213명을 선발한다. 서경대의 경우 추후 계약인원이 확정될 예정이다.
∥ 2022학년도 계약학과(정원외) 전형별 인원 ∥
가.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는 교육부의 ‘조기취업형 계약학과 선도대학 육성사업’으로 2018년부터 시작되어 현재 8개 대학 28개 학과가 참여하고 있다. 3년 교육과정을 통해 학사학위를 받을 수 있으며 2학년부터는 기업체에 근무하며 학점을 인정받는다. 모집시기는 대부분 수시에서 학생부위주(종합)전형으로 실시하지만 한국산업기술대처럼 정시에서도 선발하는 경우도 있다.
∙권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가천대, 한국산업기술대, 한양대(ERICA)), 대전・충남(순천향대), 대구・경북(경일대), 부산・울산・경남(동의대), 광주・전남(목포대, 전남대(여수)) 권역의 총 8개 대학에서 운영한다. 이와는 별개로 대구대는 경상북도와 자체협약하여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계약학과를 처음으로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학업은 기업수요에 따라 3년 교육과정을 통해 4년제 학위를 취득한다. 1학년은 대학에서 전일제 수업을 통해 전공기초능력과 현장실무 기본교육을 배우게 된다. 2~3학년에는 협약한 기업에 근무를 하면서 재직자 신분으로 교육을 받게 되므로 야간과 주말에 수업이 진행된다. 해당 산업체의 직무에 필요한 맞춤형 이론과 실습교육을 받게 된다.
∙ 1학년의 학비는 정부가 희망사다리 장학금을 통해서 전액 지급하며 학생의 부담은 없다. 2~3학년 때부터 산업체에 재직자 신분으로 교육을 받게 되며 해당 기업과 지방자치단체에서 50% 이상을 부담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 본인이 부담하게 된다. 하지만 2학년 때부터 산업체에 고용이 되므로 부담은 적은 편이다. 졸업 후에는 대졸자 신분으로 다시 임금에 대한 재계약이 이뤄지게 된다.
∙ 4년의 교육과정을 3년 내에 이수해야하므로 방학 중에도 학기가 진행된다. 또한 졸업 시까지 고용계약을 채결한 기업과 고용계약을 유지해야 하며, 본인의 사유로 퇴직 할 경우에 대학에서 제적처리가 된다.
'대입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학년도 학생부위주(교과) (0) | 2021.01.12 |
---|---|
2022학년도 대입전형 계약학과(군의무복무형) (0) | 2021.01.10 |
2022학년도 논술위주전형의 특징 - 주요 변화 사항 (0) | 2021.01.08 |
2022학년도 지역균형전형 선발(학교장추천전형)대학교 (0) | 2021.01.07 |
2021학년도 수능 국어영역 출제경향분석 (0) | 2020.12.07 |